본문 바로가기

전통주

맑은 술 '청주' 고려에 사신을 수행하며 왔던 서긍의 고려도경에는 '왕이 마시는 술을 양온이라고 하는데 좌고의 맑은 법주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양온이라고 하는 것은 고려시대 궁중에서 술에 관한 일을 다루는 관청의 이름인 '양온서'에서 온 것으로 짐작된다. '법주' 란 법대로 빚어진 술을 법주라고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 헌사에서 금주령을 내리자는 상소를 올리며 '술이 궁중에서 쓰는 법주가 아니라' 라는 내용이 나온다. 즉 법주라고 하는 것은 궁중에서 제례나 왕에게 올리는 술로 궁중에서 사용하는 맑은 술 청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청주는 단순히 술의 맑기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신분의 상징'이었으며, 아무 때나 쉽게 접할 수 없는 고급술이었던 것이다. 신분이 낮은 사람은 대부분 흰 술 '백주'를 마셨으며 신분이 .. 더보기
전통주- 막걸리 막걸리는 '지금 바로 걸러낸 술' 이라는 의미를 가진 말로, 최초의 한글 기록은 1800년대 전후 조선시대 백과사전인 '광재물보'에 처음 등장한다. 또한, 1850년대 이후 서울 세책가에서 필사한 '춘향전'에는 '한 영감이 앉아서 막걸리 팔며', '청주 모주 막걸리 모두 합해 혼돈주를', '막걸리 한 사발 나왔구나' 등의 한글 용어들이 등장한다. 1920년대 '조선어사전'에는 막걸리가 '대충' , '아무렇게나' 라는 의미가 아닌 '탁주'의 의미로 해석되고 있어 당시에는 막걸리가 '지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막걸리는 '지금 걸러낸 술' 을 의미하며 '대충 막 걸러낸 술'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막걸리는 왜 막 걸러 냈을까. 대부분의 술은 술을 빚고 많은 시간이 지나 발.. 더보기
전통주의 맛과 향 '누룩'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술을 빚을 때 누륵을 이용한다. 전분을 당으로 만들기 위해 전분 분해효소가 필요하고 그 효소를 얻기 위해 곰팡이를 이용한다. 또한, 생성된 당을 알코올로 만들때 필요한 효모를 얻기 위해 누룩을 넣는다. 즉, 술에 누룩을 넣는 것은 곰팡이와 효모를 넣어 주는 것이다. 술을 빚을 때 누룩을 많이 넣어 주면 곧 곰팡이를 많이 넣어주는 것이고 곰팡이가 가지고 있는 전분 분해효소를 많이 넣어주는 것과 같다. 그러면 당연히 당을 알코올로 잘 만들 수 있다. 즉, 누륵을 많이 넣어주는 것은 당화와 알코올 발효가 잘될 수 있기 때문에 양조학적으로 보면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누룩을 많이 넣지 않는 방법으로 술을 제조한다. 그 이유는 술에 질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술의.. 더보기
한국 전통주 '술'의 시작 '술'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생겨난 것인지 그 어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1446년 에 '수을'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어 지금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술'이라는 단어의 시작이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고조리서인 을 보면 현재에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와 같은 '술독','전술','술'등의 단어가 기록되어 있다. 한글 창제 이후 '수을'에서 조선 중기로 가면서 자연스럽게 '술'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여러 기록을 보면 처음에는 '수블->수을->술' 로 변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문헌적으로 볼 때 한글로 수블이라고 쓰인 것은 없다. 술이 불에 의해 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수블에서 수을이 됐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이다. 즉, 수블이 한글로 쓰인 적은 없으며 처음 한글로 쓰인 것은.. 더보기